도시의 부를 가져다주는 보물로 만들자
성범영 선생님은 한국 제주도의 유명한 원립예술가이다. 그는 중국에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기도 하다. 그는 중국의 10여개의 도시를 둘러보며 한국과 중국의 발전 과정을 비교조사 하였다. 그런 그의 유익한 의견과 건의를 들어본다. <중국의 원림 녹화 츨면에서 봤을 때 세계수준에 비교적 많이 뒤떨어져잇는 상태이다.> 기자 : 당신은 1996년 이래 24번이나 중국을 방문하였습니다. 원예가로서 인상이 가장 깊은 것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성범영 : 저는 중국문화에 대해 매우 경모한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중국의 빠르고 거대한 변화에 감탄하고 있죠.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중국의 녹화 계획 설계와 원림수준은 세계수준과 비교했을 때 아직은 많이 뒤떨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북경공항의 고속도로 양쪽은 숙성수인 양수를 심어놨는데 가장 좋은 선택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얼마 전 북경식물원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 곳의 분재는 60년 전 혹은 100년 전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근 2,30년 동안 전 세계의 원예수준은 빠른 속도로 발전 하고 있고, 많은 신기술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아직 이러한 기술을 볼 수 없습니다. 13억 인구의 중국에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식물원이 있어야 되는게 아닌가요? 기자 : 우리나라에서는 계속해서 도시인 1인 평균 녹화면적을 늘리려 노력하고 있습니다.